<특징>
<다섯명의 여배우가 펼쳐내는 여자들의 이야기!>
마당극 <여자, 죽자, 살자>의 출연배우는 모두 여자들이다. 이러한 연출상의 설정은
'여성극'이라는 이 작품의 특성을 더 뚜렷하게 한다.
<여자들로만 이어지는 한씨일가 모녀 3대의 이야기!>
홀어머니 한씨, 한씨의 딸 재숙과 경숙, 한씨의 외손녀딸 새봄이 등 딸들로 이어지는 모녀 3대의 이야기를 통해 시대가 변해도 변하지않고 존재해하고 있는 가정폭력, 남아선호사상, 남녀불평등을 이야기 한다.
<공연개요>
* 공연양식 : 마당극(여성극)
* 공연소요시간 : 60분
* 초청문의 : 055)852-6507/ 011-843-2177
* 만든 사람들
- 제 작 : 전민규
- 극 작 : 배선우
- 연 출 : 고동업
- 출 연 : 김혜경, 이명자, 하은희, 임경희, 류연람, 송병갑, 정기용, 이진관, 김완수,
최 진, 박춘우
- 음향 : 진은주
<작품경력>
- 2003 여성부 공동협력사업 선정작
- 전국 여성단체 초청공연
<줄거리>
앞풀이
여자 오광대들이 소품을 어깨에 걸고 진주난봉가를 부르며 신나게 등장한다. "여자 팔자 뒤웅박 팔자다" "여자 말띠는 팔자가 세다" "여자 용띠는 성질이 드(!)럽다"라는 세상의 온갖 차별의식을 깨부수고 당당한 여성으로 살자며 힘찬 춤과 노래로 판을 연다.
1마당
삼신할미가 생명을 점지하러 인간 세상에 내려온다. 세상에는 여인들이 아들만을 점지해 달라 아우성이고 삼신은 어찌된 일인지 알아보기 위해 세상구경을 나선다. 삼신할미가 처음 당도한 곳은 남자들만 모여있는 예비군 훈련장. 그곳에서 주접이와 허접이가 여성을 비하하는 모습을 본 삼신할미는 화를 내며 이들을 쫓아 버린다.
2마당
한씨의 둘째딸 경숙의 시댁. 시어머니는 딸만 둘인 경숙에게 아들 낳는 일이라면 수단 방법 가리지 않고, 입만 열었다 하면 아들 타령이다. 경숙은 시어머니의 성화에 못이져 낙태를 계속하게 되고 고부간의 갈등은 심각해져만 간다.
한편, 한씨의 큰딸 재숙의 집에서는 새 아버지와 성(性)이 달라서 마음의 상처를 입고 있던 외손녀 새봄의 가출 사건이 일어나고....
3마당
한씨와 재숙은 새봄이를 찾으러 나선다. 때마침 거리에서는 호주제 폐지를 위한 집회가 열리고 있다. 집회장면을 통해서 호주제도 폐지와 관련된 찬반 의견 등 다양한 입장들을 보여준다.
4마당
한씨와 재숙은 촉석루에서 새봄이를 발견하고 새봄이로부터 가출을 한 이유를 듣게 된다. 새 아버지와 성(性)이 다른 것으로 인해 새봄이가 겪었던 고통과 그런 고통이 재혼한 엄마에 대한 원망으로 이어졌다는 새봄이의 이야기를 들은 재숙은 이혼을 할 수 밖에 없었던 힘들었던 결혼생활을 이야기 한다. 두 모녀는 서로를 이해하게 되고 새봄은 자기가 앞장서서 호주제를 없애겠다고 다짐한다.
5마당
호주제 철폐에 관한 새봄의 경쾌한 상상이 펼쳐진다. 삼신할미를 비롯하여 애기장수, 논개 등 역사 속의 여성들이 등장하여 자주적이고 능동적인 여성상을 보여준다. 경숙이 또한 망설이고 주저했던 자신의 문제를 과감히 떨치고, 적극적으로 남편과 시어머니를 설득한다. 이 과정에서 남편은 가부장적인 사고의 피해자는 여성뿐만 아니라 남성도 마찬가지였음을 깨닫게 되고, 남성과 여성 모두가 평등세상을 열어 가는 주인임을 이야기한다.
뒤풀이
모든 등장인물들이 함께 나와 새롭게 각색한 '진주난봉가'와 '호주제 폐지가'를 부르며, 각자 죽고 싶을 만큼 힘들었지만 그래도 살맛나는 평등 세상을 만들어가는 여자들의 이야기 <여자, 죽자, 살자>는 막을 내린다.
<관람평>
호주제 폐지 당위성과 같은 민감한 주제를 직설적이지 않게 재미를 담아 표현해내는 기술적인 연출이 돋보이는 작품! - 진주YWCA 사무총장 박영선
오∼호 놀라워라! 막혔던 가슴이 확 뚫려!! 어디에도 이렇게 시원한 공연은 없었습니다.
- 진주여성민우회 대표 서은애
돋보인 여배우 연기...생활 속 성차별 사례 보는 재미 쏠쏠
- 진주신문 2003년 9월 24일
너무 재미있었고 꼭 울엄마 애기같아서 넋을 잃고 열심히 봤습니다.
- 공연게시판에 보라보라 님
<공연일지>
2003년
1-2. 9월 20~21일 진주시 청소년문화회관 대강당
3. 11월 8일 민예총 진주지부 창립 축하공연
4. 11월 15일 광주전남 여성단체연합 주최 호주제 철폐문화한마당 초청공연
5. 12월 23일 (사)사랑의 장기기증운동 강릉본부 초청공연 - 강릉시청 대강당
2004년
6-7. 7월 2일 인천 남구 여성대회 초청공연 - 인천 종합문예회관 소극장 (2회)
8. 7월 6일 여성주간 기념 김해여성의 전화 초청공연 - 김해칠암문화센터
9. 7월 13일 거제 YWCA 초청공연 6시. 거제문예회관
10. 7월 13일 거제 YWCA 초청공연 8시. 거제문예회관
11. 8월 5일 전국민족극한마당 초청공연 - 성주문예회관
12. 10월 2일 큰들 마당극 레파토리 무료 공연 (큰들 창립 20주년 기념)
13. 12월 15일 창녕 자원 봉사자 대회 초청 공연
2005년
14. 5월 18일 인하대학교 대동제 초청 공연
15. 5월 29일 제4회 진주 논개제 초청 공연
16. 10월 6일 남강 유등 축제와 함께하는 마당극 퍼레이드 공연
17. 12월 17일 평택 <가족과 함께 하는 양성 평등 축제> 초청공연
2006년
18. 7월 5일 양산 여성회<여성주간 기념행사>초청공연
19. 10월 9일 큰들 마당극 퍼레이드
2008년
20. 6월 27일 인천 연수구 금요예술무대 초청공연
|